22년 4월 대통령직 인수위에서 법적, 사회적 기준의 나이계산법을 만 나이로 통일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한국식 나이, 만 나이, 연나이 계산법을 모두 채택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나이 계산법이 통일되지 않아 발생하는 혼선과 분쟁 등을 줄여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없애고자 23년 6월 28일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아래 만나이 계산기로 바로 가셔서 자신의 만나이를 계산해보세요.
만나이 계산법
현재 날짜가 23년 5월 21일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980년 6월 1일에 태어난 사람의 만나이를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연도 - 출생연도 (현재 2023, 출생 1980) = 만나이
✅ 2023년 - 1980년 = 만 43세(나이)
✅ 생일이 지나지 않았을 경우 만 42세. 따라서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6월 1일에 태어난 사람은 현재 23년 5월 21일 기준으로는 만 42세가 됩니다. 한국식 나이는 44세입니다.
만나이 계산기
정말 위의 계산하는 방법도 어렵고, 귀찮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아래 네이버 계산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거나, 네이버 검색창에 만 나이 계산기라고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출생일 입력 → 기준일 입력 → 계산하기
만나이계산기에서 자신의 출생일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기준일을 오늘 혹은 원하는 날짜로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아래에 만나이를 계산해 줍니다.
앞서 계산했던 바와 같이 1980년 6월 1일 출생한 사람은 오늘 23년 5월 21일 기준으로 만 42세입니다. 생일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만 42세입니다. 별로 어렵지가 않으시죠?
만 나이 도입시기
2022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대선공약으로 내세우면서 만 나이에 힘을 싣게 되었는데요. 작년 5월 만 나이로 통일하는 법 개정안이 발의되고, 22년 12월 6일 드디어 법안이 의결 통과되어 본격적인 만 나이 도입이 되었습니다. 도입시기는 23년 6월 28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최근 이슈중에 하나인 만 나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대한민국은 상황에 따라 나이를 달리 계산하는 방법 때문에 많은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였습니다. 그리고 빠른 년생으로 살아가는 분들은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습니다. 아직은 시행되지 전이라 설왕설래가 많지만, 만 나이로 통일이 된다면 사회적 혼란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합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 소개 신청방법, 지원대상, 지원내용 총정리 (0) | 2023.05.23 |
---|---|
아이돌봄 서비스 아이돌보미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3.05.22 |
서울시 소상공인 버팀목 고용장려금 신청방법 핵심정리 (0) | 2023.05.22 |
소상공인 철거지원금 신청방법 신청대상 - 원스톱 폐업지원 (0) | 2023.05.21 |
2023 코로나 생활지원비(생활지원금) 신청 방법 및 유급휴가비 신청 (0) | 2023.05.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