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2023년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가입조건, 신청기간, 나이, 은행별 금리 비교, 이자 등

by 제이파트너스

2023년 6월부터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부터 다시 가입신청이 재기되는데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서 만들어진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납입을 하면, 최대 5천만원을 저축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자격조건에 해당이 되신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반드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신청
청년도약계좌신청

 

2023년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청년이 5년간 청년도약계좌에 저축 시에 최대 5천만 원을 모을 수 있는 청년 복지제도입니다. 지난 6월 15일 11개 은행에서 출시되었는데요.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준비된 예산이 소진되면, 신청이 마감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약도약계좌 신청 은행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ㅇ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가입대상 : (나이)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만 나이 계산 시에 제외됩니다. 
가입기간 : 5년(60개월)
가입금액 : 매회 1천원 이상, 매월 70만 원 금액을 만기일까지 자유 적립 or 정기적금

 

청년도약계좌 신청은행 및 금리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가입하기 전에, 아래 은행에서 금리 및 이자를 비교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KB 국민은행 NH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 기업은행
전북은행 BNK 경남은행 BNK 부산은행
DGB 대구은행 광주은행  

금리 

은행별로 금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입 후 3년동안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네이버에서 예금상품 금리비교를 해보시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 기본금리(3년고정) % 소득 우대 금리 % 가산금리 % 최대금리 %
KB 국민은행 4.5 0.5 1.25 6.25
NH 농협은행 4.5 0.5 0.9 5.9
IBK기업은행 4.5 0.5 0.6 5.6
신한은행 4.5 0.5 1 6
우리은행 4.5 0.5 1 6
하나은행 4.5 0.5 1 6
DGB대구은행 4 0.5 1 5.5
BNK부산은행 4 0.5 1 5.5
BNK광주은행 3.8 0.5 1.2 5.5
전북은행 3.8 0.5 1.3 5.6
광주은행 4 0.5 1.2 5.7

꼼꼼히 은행 별로 금리를 비교해보시구요. 금리 이외에도 정부 기여금, 관련이자, 이자소득 비과세로 인해서 연 7프로 이상의 효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
청년도약계좌신청
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
청년도약계좌신청

 

신청방법

신청기간

지난 6월에는 6월 15일 ~ 6월 23일까지 출생년도 별로 5부제에 따라 가입신청을 받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신청

 

7월에는 7월 3일 ~ 7월 14일까지 출생년도와 상관없이 모두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신청

▲ 신청 일정 및 향후 일정은 위의 표와 같이 진행됩니다.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시중 11개 은행에서 접수받고 있습니다. 

✅ 은행 직접 방문 신청
✅ 앱(어플)을 통해 영업시간(오전 9시 ~ 오후 6시 30분) 가입 신청 가능
※ 자격요건이 확인되면 가입신청을 한 은행에서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받으실 수 있고, 가입이 가능하다고 안내를 받으신 분들은 은행을 방문하여 계좌 개설을 완료하시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
청년도약계좌신청
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

 

신청 조건 및 자격 대상

1. 나이

신규 가입일 기준으로 만 19세 ~ 만 34세 이하가 대상입니다. 단,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에 제외된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신청

2.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단,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제외됩니다. 그리고 직전 과세기간 소득이 확정되지 않는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확인하게 됩니다. 

3.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가 가구소득 기준입니다. 청년 본인과 주민등록표상에 있는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 자매를 기준으로 가구원 수를 산정합니다. 

가구원 기준 중위소득 180% 기준
1 가구 39,481,150
2 가구 66,702,506
3 가구 86,053,320
4 가구 105,327,864
5 가구 124,359,864
6 가구 143,177,825
7 가구 161,939,477

▲ 1인가구는 39,481,150원 이며, 4인 가구는 105,327,864원으로 다른 지원금보다는 기준이 낮은 편입니다. 

기준중위소득

4. 금융소득종합과세

가입일 기준 과세기간의 직전 3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이 그 대상입니다. 

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
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청년도약계좌신청

 

오늘은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5년간 매월 70만 원씩 저축을 하면 5천만 원이라는 목돈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가입조건에 해당이 되신다면 반드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매월 저축액이 부담스럽다면, 월 저축액을 줄여서라도 일단 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